TIL 84

2024. 01. 18 TIL

오늘은 드디어 알고리즘 문제를 하나 풀었다. 근데 생각보다 너무 쉬워서 한숨이 나왔다 ㅋㅋㅋ.... 나이를 구하는 문제였다... 이 문제를 2주 동안 못풀었는데 오늘은 무슨 바람이 불었는 지 머리가 잘 돌아갔다. 정리를 해보자면 2022년도를 기준으로 출생 년도를 알고 싶으면 2022- 현재 나이 +1 을 하면 출생 년도가 나오는 것이었다 ㅋㅋㅋ.... 어이가 없었다... 어떤 변수를 선언을 해야할까 하다가 ' 어짜피 식 하나로 끝내버릴 수 있잖아..?' 라는 생각이 뇌리를 스쳐가는 것이었다. 그래서 풀이 사진과 같이 바로 myAge라는 변수에 출생 년도를 구하는 식을 할당하고 리턴을 해버렸다. 오늘의 공부 HTTP 모듈로 (감자)서버 만들기 1. 서버 만들기 - createServer함수를 사용한다. ..

TIL 2024.01.18

2024.01.17

자바스크립트 문법 주차가 지나고 Node.js 주특기 입문 주차가 시작되어 버렸다... 아직 자바스크립트도 잘 모르는데 또 이틀 뒤면 알지도 못하는데 꾸역꾸역 과제도 해야 한다... 갈길이 멀고 험하구나~ 오늘 공부한 것 웹 브라우저: 인터넷 브라우저라고도 하며, 웹서버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고 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소프트웨어 정적(Static) 파일 :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전송되는 대로 그대로 처리한다. 동적(Dynamic) 정보: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실시간으로 내용을 생성, 변경한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상의 리소스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 인터넷상의 주소 * URL의 구조 : ://:/ => 웹 서버에서의 특정한 리소스 위치를 나타낸다. D..

TIL 2024.01.17

2024. 01. 16 TIL 겸 일기

오늘은 팀과제 제출과 발표날이었다. 처음 미니 프로젝트를 했을 때와는 같은 느낌은 아니었다. 그때는 뭔가 구현하지 못해 마음이 조급했는데 오늘은 그런게 아니었다. 아무 것도 하지 못한 내 자신이 너무 싫어서 끝을 맞이하고 싶지 않은 것 같다. 팀 과제는 개인과제를 토대로 협업을 통해 발전시키는 즉, 다른 부가적인 기능들을 구현해내는 과제였다. DOM을 사용하고, localStorage(?)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ID, PW, 리뷰를 저장해서 로그인을 한 후 리뷰를 작성하거나 삭제, 수정하는 기능들을 추가하는 것이었다. (자세히는 나도 모르겠다. 용어 자체도 모르고 어떻게 해야할 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내가 맡은 부분은 영화 상세페이지를 구현하는 것이었는데 사실 개인과제에서 API를 가져오는 것도 어떻게 ..

TIL 2024.01.16

2024. 01. 15

오늘 공부한 것(feat. 생활코딩 JavaScript) 이번 과제를 통해 너무 부족함을 많이 느껴서 기본적인 것 부터 다시 복습하기로 했다... - 배열에 있는 요소를 불러오는 방법 - let borrachos = ['김삿갓', '김춘자']; document.write(borrachos[0]); document.write(borrachos[1]); 1. 배열을 선언한다. 2. document.write를 사용하고 '부르고 싶은 배열[배열의 순서]' - 이미 만들어진 배열에 요소를 추가하는 방법 - (기본적인 2가지 방법) 1. borrachos.push(넣고 싶은 것) push()는 배열의 가장 마지막 자리에 요소를 추가시켜준다. 내가 알아낸 것: 요소를 하나만 넣을 수 있는 줄 알았는데 두개를 넣으면..

TIL 2024.01.15

2024. 01. 11

내가 생각한 것 1. 배열에 있는 숫자를 모두 더해야 하니까 반복문을 사용하자 2. 평균을 구해야하니까 모두 더한 후에 배열의 길이 만큼 나누자 3. 더한 값을 담아 둘 변수가 필요하다. 시도와 문제 그리고 etc function solution(arr) { var answer = 0; var sum = 0; // 반복은 i가 배열의 길이 만큼 한다. for(let i = 0; i < arr.length; i++) { // sum은 sum + 배열의 각각의 인덱스 sum = sum + arr[i] answer = sum / arr.length} return answer; } 사실 모르겠다 아직도...왜 sum = sum+arr[i]인지... 0 = 0 +0 0 = 0+1 1 = 1+2 .....???? ..

TIL 2024.01.11

2024. 01. 10

* 지옥의 알고리즘 수련 * 배열의 평균 값 구하기 문제를 풀기 위해 내가 생각해본 것, 해결하기 1. 평균을 구하려면 어떻게 하더라?? => 배열에 있는 모든 값을 더한 후, 갯수로 나누자 나누는 건 arr.length로 배열의 갯수를 구하는 건 알겠는데... 2. 배열의 모든 값을 더해주려면 어떻게 해야하지..?? => 음... for문을 한번 돌려 볼까? function solution(numbers){ for(let i = 0; i

TIL 2024.01.10

2024 . 01 . 09 TIL

사실 어제가 첫 개인과제 제출 날이었는데 깜빡하고 TIL에 작성하지않았다 ㅋㅋㅋㅋㅋ...... 근데 사실 정말 쓸 이야기가 없다. 전 TIL들에도 징징거렸듯이 방황만 하다가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았고 어찌저찌하다가 동기분들이 도와주시고 끌어올려주셔서 겨우 기본적인 부분만 채웠을뿐... 뭐.... 대충 이런 느낌인데 사실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는 API를 연동시켜서 페이지에 띄운 것 자체가 나에게는 정말 큰일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정말 진심으로 뭔말인지 이해가 안가서 너무 힘들었다. * 이것저것 열심히 참고해서 꾸역꾸역 짜본 코드 * const callApi = fetch('https://api.themoviedb.org/3/movie/top_rated?language=en-US&page=1', optio..

TIL 2024.01.09

2024. 01. 08 TIL?

오늘의 알고리즘 공부 문제를 풀기 위해 내가 생각해 본 것 1. 짝수가 나왔으니까 일단 조건문이 하나 들어가야 하지 않을까? if(n % 2 ===0) {...} 2. 모두 더하라고 하니까.. 뭔가 반복문을 사용해야 할 것 같다. 그렇다면 어떤 반복문을 사용하지? for(let i = 0; 어떤 조건을 넣어야하나... ; i++) {...} 하... 한계를 맞이 해버렸다.... 남들은 뚝딱뚝딱 풀던데... 해결방법(모를 때는 구글링이지...) 글로 좀 적어봤는데도 이해가 안간다.... 내용 => (n이 10이 들어오면 i는 n보다 작거나 같으니까 0~ 10까지 더해줄 거고, 만약에 i가 짝수면 answer = answer +1 임) 그리고 answer값을 반환해 줌... ...???? 이해가 안 간다....

TIL 2024.01.08

2024 01. 06 TIL

오늘 내가 배운 것 백엔드에 데이터 요청 시 url을 통해서 요청을 할 수 있다. url에 요청 포맷에 맞게 url을 만들어야 한다. API를 불러오는 기초적인 함수 만들기 const API_Key = "발급된 API키를 적어준다."; async function getData(){ const url = url('요청할 data의 url주소와 함께 요청할 것을 확인 후 요청 변수를 적어준 후 값을 함께 적어준다.'); const response = await fetch(url); // await: 데이터가 올 때까지 기다려라! 그의 짝은 async 함수 const data = await response.json(); // 요청한 데이터가 담겨있는 respone에서 json 방식의 데이터만 뽑아서 data에..

TIL 2024.01.07

2024. 01. 05 징징거림

어제(01월 06일)는 하루 종일 절망속에서 지속과 포기의 기로에서 고민을 수도 없이 하느라고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공부를 했지만 뭘 했는지 기억도 안나고, 뭘 해도 의욕도 없고 무기력했다. 결국, 나는 중도 포기 상담을 받기로 했다.... 매니저님과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눈 결과는 스스로도 지금 포기하기는 아쉽다고 생각을 하니 일단은 17일 까지는 한번 뻐팅겨보기로 했다.... 과제를 해야하지만 너무 힘들기 때문에 조퇴를 선언해버렸다.... 에라 모르겠다... 백지 과제 내면 어쩔껀데 내가 모르겠다는데!

TIL 2024.01.07
728x90